본문 바로가기

뉴스와 정보

구절초 효능(부인병, 월경불순, 중풍)과 부작용, 구절초 키우기

728x90
반응형

 

 

 

 

*식물명: 구절초

*과명: 국화과

*별명: 구일초, 들국화

*생약명: 구절초

*분포지: 전국의 산과 들

*번식법: 종자 및 영양번식

*꽃 피는 시기: 9-10월

*수확기: 가을

*꽃말: 고상, 모정

*용도: 약용, 식용, 관상용

*약용: 부인병,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 건위, 신경통, 식욕촉진, 중풍

 

 

 

 

식물의 생김새와 특징

 

산기슭 풀밭에서 흔히 나는 다년생 식물로서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며 높이는 50cm 내외로 자란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밑 부분이 편평하거나 심장 모양이다. 9-10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꽃이 피며 열매는 긴 타원형의 수과이다. 수과란 과피가 말라서 목질이나 혁질이 되고 속에 종자를 가지는 폐과를 말하며, 익어도 터지지 않는다. 

음력 9월 9일에 꺾어 모은다고 하여 구절초라고 하는데 부인과질환이 있는 여성의 경우는 병원 치료도 중요하지만 가정에서 재배하여 계속적으로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재배가 아니고 집안에서 소규모로 키울 경우, 몇 개의 화분에 파종하여 거실이나 창가, 바람과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두고 재배하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아도 무성하게 잘 자라므로 쉽게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절초는 부인과질환과 신경통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일반 화훼류처럼 화단이나 화분에 재배하여 집안에서 감상하기에도 좋은 식물이다. 

 

 

재배법

 

구절초를 재배할 때의 토양은 물빠짐이 좋은 마사토에 부엽을 1:1 정도로 섞어서 사용하거나 밭 흙에 부엽을 혼합한 용토를 사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양지를 좋아하며 특히 직사광선이 오전 중에 2-4시간 정도 비추는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잎이 크거나 잎에 무늬가 있는 것은 광선이 약한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지나치게 햇볕이 부족하고, 통푸잉 되지 않거나 배수가 잘 안 되고, 온도와 습도가 높으면 식물체가 허약해지는 원인이 된다. 물 주기는 건조에 강하고 튼튼하기 때문에 노지 재배에서는 줄 필요가 없지만 화분에 심었을 경우에는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히 물을 주어 관리한다. 

 

*번식방법: 종자번식이나 포기 나누기, 삽목으로 번식이 가능하다. 파종할 경우, 종자는 10월 말이나 11월 초에 성숙하는데 꼬투리째 잘 싸서 보관하였다가 이듬해 봄 3-4월경에 파종한다. 포기나누기를 할 경우, 뿌리를 적정하게 분배하고 전정가위로 잘라준다. 

 

*관리: 9월 이후 꽃이 피고 진 다음에는 따로 비료를 줄 필요는 없다. 줄기와 잎이 시들기 시작하는 초겨울이 되면 월동할 싹 이외의 지상부는 잘라주고 월동을 시킨다. 

 

 

 

 

구절초의 효능과 한방 및 민간요법

 

*사용부위

구절초는 줄기와 잎을 약재로 사용한다. 

 

*채취와 가공

꽃이 피기 전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성분

카페인산, 리나린 등을 함유하고 있다. 

 

*효능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에 특히 효능이 있으며 위가 냉하거나 소화 불량인 경우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용법

말린 줄기나 잎 10-20g을 물 300ml에 넣고 약한 불에서 반으로 서서히 달여 식후에 약 1달 정도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식용법

엿 300g, 소주 0.5l에 말린 구절초 75g을 넣고 3-4개월 숙성시켜 사용하면 부인병 질환이나 신경계 질환에 아주 좋다고 한다. 단, 기준량을 사용한 후에는 복용을 중단해야 하며 남자가 장기간 복용하면 양기를 감소시킨다고 한다. 

 

 

 

 

 

-사진, 글 출처: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728x90